김민석 국무총리는 24일 열린 '제1차 K-토론나라: 미래대화 1·2·3'에서 사회적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청년들이 주체가 되는 논의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총리는 과거 사례를 들어 사회적 협약을 통한 소통 방식이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참여하여 미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대화의 중요성
김민석 국무총리는 사회적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제도화한 사회 협약 체계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유럽의 복지국가 건설 과정에서 노동계와 정부 간의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언급하며,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한 대화 구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책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사회 통합을 이루는데 필수적이라는 점은 잊혀서는 안 될 부분이다.
정책이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현 시대의 문제를 비판하며 김 총리는 "2000명 딱 일방적으로 해"라는 방식을 지적했다. 이는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간과하는 것이다. 김 총리는 오늘의 회의에서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좋은 아이디어를 얻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회적 대화의 장이 활성화된다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문제 해결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될 것이다.
김 총리는 국가의 미래는 대화와 소통 속에서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많은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토론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 결정이 이뤄질 것이며, 이는 국가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또한,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청년 참여의 필요성
김 총리는 청년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미래 대화 자리에 젊은 세대가 많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금, 저출생, 결혼, 주거 등 다양한 문제에서 실제 당사자인 10대, 20대, 30대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이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들이 참여하지 않는 정책은 그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문제들을 간과할 수밖에 없다. 김 총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K-토론나라와 같은 플랫폼이 최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청년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 총리는 K-토론나라가 사회적 대화의 장이 되어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모여 의견을 나누고, 서로를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는 청년들이 직접 정책 논의에 참여함으로써, 실제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미래의 기회가 될 것이다.
미래 대화의 방향
김 총리는 'K-토론나라'가 앞으로 많은 문제를 논의하는 플랫폼이 되어,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그는 토론의 핵심은 당사자가 문제를 직시하고, 그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즉, 각 문제의 주체가 '나'라고 느끼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청년들이 의사 결정 과정에 더욱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서 나온 지혜를 바탕으로 정책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자는 것이 그의 바람이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문제를 드러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 총리는 K-토론나라의 첫 행사 개최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에 나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이러한 대화의 장이 계속 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짐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K-토론나라를 통해 사회적 대화와 청년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러한 플랫폼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향후 청년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의 장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하며, 사회적 대화의 토대를 다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